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알고가세요~

주휴수당 계산법 알아두세요.

회사에 다니고 계신다면 주휴수당을 받고 계실텐데요 주휴수당이 무엇인지 모르시는 분들도 계실것 같아요. 주휴수당의 의미와 주휴수당 계산법을 자세히 알아봅시다.

근로기준법에는 일주 동안 정해진 근무일수를 채운 근롲에게 유급 주휴일을 주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주휴일에는 근로를 하지 않아도 1일간의 임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는 것이지요.

주휴일은 상시근로자나 단기간 근로자에 상관없이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한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되어 집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1일 근로시간 × 시급'

예를 들어 근로자의 근로 조건대로 하루 8시간씩 주 5일 근무를 하였다면  모든 사용자는 근로자가 하루를 쉬더라도 하루분 급여(6시간 × 시급)를 지급해야 합니다.

즉 1주일 중 1일은 무급휴일, 다른 1일은 주휴일이 되는 것입니다.

주휴 슈당은 임금에 포함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지급할 의무가 있는 것입니다.

또한 1주 간 근로시간은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꼭 숙지하셔서 자신의 급여가 제대로 된 것인지 스스로의 권리를 확인하고 누리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