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 다니고 계신다면 주휴수당을 받고 계실텐데요 주휴수당이 무엇인지 모르시는 분들도 계실것 같아요. 주휴수당의 의미와 주휴수당 계산법을 자세히 알아봅시다.
★
근로기준법에는 일주 동안 정해진 근무일수를 채운 근롲에게 유급 주휴일을 주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주휴일에는 근로를 하지 않아도 1일간의 임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는 것이지요.
주휴일은 상시근로자나 단기간 근로자에 상관없이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한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되어 집니다.
☆
주휴수당 계산법
'1일 근로시간 × 시급'
예를 들어 근로자의 근로 조건대로 하루 8시간씩 주 5일 근무를 하였다면 모든 사용자는 근로자가 하루를 쉬더라도 하루분 급여(6시간 × 시급)를 지급해야 합니다.
즉 1주일 중 1일은 무급휴일, 다른 1일은 주휴일이 되는 것입니다.
주휴 슈당은 임금에 포함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지급할 의무가 있는 것입니다.
또한 1주 간 근로시간은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꼭 숙지하셔서 자신의 급여가 제대로 된 것인지 스스로의 권리를 확인하고 누리시기 바랍니다.
♣
'생활정보 알고가세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면허 벌점조회 하는 방법$$ (0) | 2015.05.04 |
---|---|
해피머니상품권 사용처 알아봅시다 (0) | 2015.05.03 |
아파트 관리비 조회 방법 알고 계신가요? (0) | 2015.05.01 |
한글 영어 변환 더 정확한 번역기 사용법 (0) | 2015.04.30 |
김해공항 주차요금/주차장/무인정산기 이용 방법 (0) | 2015.04.28 |